참고자료 소개 블로그 링크 Key Trends from a Summer of Non-compete Reform

 

 

Prohibition Against Non-Competes for Low-Wage Workers

The most common area of reform has been the ban against employers entering into non-compete agreements with “low-wage” employees. Maryland, Maine, New Hampshire, and Rhode Island all now prohibit employers from entering non-compete agreements with “low-wage” employees, though the definition of “low wage” varies by state.

 

Maine’s L.D. 733 sets forth the broadest definition of “low-wage” setting the threshold hold at employees earning at or below 400% of the federal poverty level ($49,960 in 2019).

 

Rhode Island and Maryland set their compensation threshold several thousand dollars lower, at employees earning at or below 250% of the federal poverty level ($31,225 in 2019)and employees earning at or below $31,200 per year or $15perhour, respectively.

 

Similar to Rhode Island and Maryland, New Hampshire’s S.B. 197 defines “low-wage” employees as those earning an hourly rate less than or equal to 200% of the federal minimum wage(i.e., $14.50per hour or $30,160 annually).

 

Enhanced Notice Requirements

Another common feature among the myriad of recently enacted non-compete laws is the imposition of new notice requirements before a non-compete restriction can be enforced against an employee.

 

For example, Maine’s L.D. 733 requires employers seeking to enforce a non-compete agreement to (a) disclose the terms of the non-compete agreement prior to an offer of employment, and (b) provide a copy of the non-compete agreement at least three (3) business days before the employee is required to sign the agreement. Similarly, New Hampshire’s S.B. 197 mandates that employers provide a copy of the non-compete agreement to any potential employee before the employee accepts an offer of employment. A non-compete agreement that has not been disclosed to an employee prior to his or her acceptance of employment is unenforceable under the new New Hampshire law.

 

KASAN_전직금지, 경업금지 약정의 효력 관련 미국의 최근 입법 동향.pdf
다운로드

 

[질문 또는 상담신청 입력하기]

 

 

작성일시 : 2021. 9. 13. 15:00
:

 

 

Destiny“Vitality”라는 healthcare wellness program을 개발한 후 건강보험회사 Cigna NDA를 체결하고 그 기술내용을 제공하였습니다. Cigna 팀원들이 “Vitality” 및 관련 사항을 심사한 결과 그 프로그램 도입 비용이 너무 비싸다는 등 이유로 최종적으로 매수 또는 협력개발을 포기하고 독자적으로 “Empower”라는 프로그램을 개발하였습니다. , 기술개발사와 기술도입 협상을 진행하면서 NDA 체결 후 그 기술내용을 심사하였지만 최종적으로 가격 등 거래조건이 맞지 않는다는 이유로 기술도입을 포기하고 독자개발을 추진하여 유사한 제품을 출시한 것입니다.

 

기술개발사 Destiny에서 Cigna를 상대로 “Vitality”의 영업비밀을 활용하여 “Empower”를 개발한 것이므로, NDA 위반 및 영업비밀침해라고 주장하는 소송을 제기하였습니다.  Destiny에서는 영업비밀침해에 관한 직접적인 증거는 제시하지 못했고, 다만 간접적인 정황증거(circumstantial evidence)와 소위 “inevitable disclosure doctrine" 적용을 주장하였습니다. 다시 말하면, 기술도입 협상이 결렬된 후 개발된 제품에 기술협상 과정에서 습득한 기술내용이 필연적으로 활용되었을 것이라는 주장입니다.

 

실무적으로 빈번하게 발생하는 사례로서 그 대응전략이 매우 중요하지만 관련 법리와 실무적 대응 및 판단이 쉽지 않는 어려운 사안입니다. 관련 쟁점을 자세하게 설시한 미국법원 판결을 참고자료로 첨부해드립니다. 꼼꼼하게 한번 잘 읽어 보시길 권합니다.

 

이 사건에서 미국법원은 영업비밀침해 주장을 배척하였습니다. 미국법원은 기술도입 협상 과정에서 Cigna에서 많은 정보를 습득하였을 것을 인정하지만, 그것만으로 영업비밀 침해를 단정할 수 없다고 판결하였습니다. Cigna에 책임을 물으려면 그 습득한 정보를 활용하지 않고서는 해당 후발 제품 “Empower”를 독자적으로 개발할 수 없었을 것이라고 추론할 수 있어야만 한다는 입장입니다. 그와 같은 경우에만, 습득된 정보가 “inevitable disclosure"를 통해 독자개발에 부당하게 사용됨으로써 결국 영업비밀 침해 및 NDA 위반의 책임을 인정할 수 있다는 판결입니다.

 

미국법원 판결문의 핵심 판시부분을 인용하면 다음과 같습니다. “The fact that the information provided by Destiny might have made Cigna more informed in evaluating whether to partner with Destiny or another vendor in the development of an incentive-points program does not support an inference that Cigna misappropriated Destiny’s trade secrets absent some showing that Cigna would not have been able to develop its incentive-points program without the use of Destiny’s trade secrets.”

 

또 하나의 중요한 쟁점은 "firewall" 문제입니다. 기술제안자 Destiny에서는 협상 대상자 Cigna에서 “Vitality”의 심사 팀과 “Empower” 개발 팀원 사이에 firewall 등 어떠한 차단조치도 취하지 않고 독자 개발을 진행한 책임이 있다고 주장합니다. 그러나, 미국법원은 기술제안자 Destiny에서 당시 제공된 기술정보의 “inevitable disclosure” 상황을 우려했다면 상대방에게 이와 같은 firewall를 요구했어야 한다는 입장입니다.

 

기술제안 및 협상을 통해 상대방이 습득한 기술내용을 어떻게 보호할지 매우 어려운 문제입니다. 그렇다고 상대방에게 모든 책임을 지운다면 기술거래 자체가 크게 위축될 것입니다. 따라서 합리적인 balance point를 설정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위 미국판결에서는 (1) 기술정보 불법사용에 관한 직접 증거가 있는 경우 또는 (2) 직접 증거는 없지만 습득된 기술정보를 활용하지 않고서는 독자개발에 성공할 수 없었을 것이라는 점이 입증된 경우에만 영업비밀 침해책임이 인정된다는 입장입니다. 소위 “inevitable disclosure doctrine" 적용범위를 제한하는 balance point를 제시한 것으로 볼 수 있습니다.

 

KASAN_영업비밀 부정사용 입증 쟁점 - “inevitable disclosure” 판단 관련 미국판결 - 기술제안협상 결렬된 후 기술제안 받은 회사에서 유사 제품을 독자 개발한 경우 영업비밀 사용 및 침해 여부.pdf
다운로드

 

[질문 또는 상담신청 입력하기]

 

 

작성일시 : 2021. 9. 8. 09:00
:

 

Limitation on Employment Injunctions Under DTSA § 1836(b)(3)(A)(i)(1)(I)

(1) Remedies. In a civil action brought under this subsection with respect to the misappropriation of a trade secret, a court may—

(A) grant an injunction (i) to prevent any actual or threatened misappropriation described in paragraph (1) on such terms as the court deems reasonable, provided the order does not (I) prevent a person from entering into an employment relationship, and that conditions placed on such employment shall be based on evidence of threatened misappropriation and not merely on the information the person knows; or (II) otherwise conflict with an applicable State law prohibiting restraints on the practice of a lawful profession, trade, or business.

 

An injunction under the DTSA cannot “prevent” a person from taking new employment and must be based on evidence of "threatened" misappropriation. If an injunction limits someone’s new employment, this requires “evidence of threatened misappropriation,” not merely evidence that the employee “knows” trade secrets.  This means a court cannot say to a departing employee "you cannot ever work at Company X, under any circumstances." But a court can place restrictions on employment, like ordering the employee to wait a few months until a particular deal is over or prohibit the employee from working on a specific project, but only so long as the plaintiff brings forward evidence of a "threat" that the employee will use or disclose the trade secrets. The naked argument that the employee knows and will "inevitably" use or disclose the information in a new job should not be enough.

 

Much Ado About § 1836(b)(3)(A)(i)(1)(I) - "many of these 'inevitable disclosure' injunctions were entered only after a showing that the employee has engaged in “bad acts” found to threaten misappropriation of trade secrets."

 

첨부: 참고자료 미국 석사논문

 

KASAN_종업원의 경쟁업체 전직으로 영업비밀의 Inevitable Disclosure 사용자의 영업비밀 보호 위한 전직금지청구 vs 근로자의 전직의 자유, 직업선택권의 충돌 - 미국 영업비밀보호법 실무 Injunctio.pdf
다운로드
Inevitable Disclosure Doctrine.pdf
다운로드

 

[질문 또는 상담신청 입력하기]

 

 

작성일시 : 2021. 9. 7. 17:00
: